차근
차근
부자
되기
ROE , ROA
에 대해 알아보자!
ROE
(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이익률"
기업이 자본을 이용하여 창출한 이익을 나타내는 지표
자본총액이라는 말은,
사업을 하기 위해 자기가 투자한 금액이며,
ROE = 자본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했는가를 나타내는 지표
입니다.
자산 = 자본 + 부채,
자산과 자본은 다른 용어입니다.
예를 들어 자본총액 1억원인 회사가 1년에 5천만원을 벌어들다면, ROE는 50%가 됩니다.
1년 후, 자본은 1억 5천만원이 됩니다.
만일 다음해에도 ROE를 50%로 유지하려면,
1억5천만원의 그 50%인 7천5백을 벌어들여하고, 그 다음 해의 자본 총액은 2억2500만원이 됩니다.
이처럼 ROE는 회사자본이 복리로 성장하는 비율을 나타내므로, 성장성을 나타내는 지표가 된다.
ROE 는 주로 시중 "금리" 와 비교하는 지표입니다.
"ROE > 금리" 의 의미는,
은행 예금보다 그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
더 높은 수익률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ROE 는 주주 가치가 창출되고 있는지,
혹은 훼손되고 있는지 측정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은행 이자율 보다 낮은 ROE 의 기업이라면,
투자하느니 말 그대로 은행의 이자를 받는 것이 더 이득인 셈입니다.
워렌 버핏은 가치투자의 기준 중 하나로 ROE 를 지목하였으며, ROE가 최근 3년간 15% 이상인 회사라면 투자할만 하다고 말했습니다.
ROA
(Return On Assets)
"자산수익률" and "총자산이익률"
기업이 자산을 이용하여 창출한 이익을 나타내는 지표
ROE 가 자본 이라면, ROA 는 자산!!
자산 = 자본 + 부채
(빚도 능력입니다..)
예를 들어 자본이 1억원 있고, 은행에 1억을 빌려,
2억으로 투자했고, 이를 통해 1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습니다.
ROA = 50%
만일 다음해에도 ROA를 50%로 유지하려면,
3억의 그 50%인 1억 5천의 이익을 내야하며, 그 다음 해의 자본 총액은 4억 5천이 됩니다.
ROA 는 자산 (자본 + 부채)
ROE 는 자본 이므로,
일반적으로, ROE 를 많이 참고하며,
따로 기재된 부채 비율을 참고하여
기업을 평가합니다.
PER PBR ROE
재무제표에서 3대 지표라고 불리며,
투자의 기초 상식인 지표입니다.
다음에는 세 지표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모두
부자
되는
그날
까지
'경제생각 > 경제 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주식투자 용어] EV / EBITDA 간단히 알아보자! 재무제표 공부 (0) | 2019.01.21 |
---|---|
[주식 및 투자 용어] SPS, PSR 간단히 알아보자! 재무제표 공부 (0) | 2019.01.20 |
[주식 및 투자 용어] GSP, GPR 간단히 알아보자! 재무제표 공부 (0) | 2019.01.20 |
[재무제표] 80세 할머니도 이해하는 #재무상태표, 1편 #자산 (0) | 2019.01.20 |
[주식 용어] #CPS and PCR #초간단설명 #투자 #재무제표 (0) | 2019.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