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x 1. Trade Tensions, Monetary Policy, and Global Financial Conditions
무역 긴장, 통화 정책 및 글로벌 금융 상태
1. Trade tensions
Investors have become increasingly concerned about the impact of the intensification of trade tensions and the weakening economic outlook.
투자자들은 무역 긴장이 심화되고, 경제 전망이 약화되는 것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2. The monetary policy
Second, market participants have been grappling with the implications of these tensions for the monetary policy outlook.
시장 참여자들은 통화 정책 전망에 대한 영향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무역 전쟁으로 인해 통화 정책의 변화가 예상됨
금리 상승 & 양적 긴축 → 금리 인하 & 양적 완화
The escalation in trade tensions in early May brought to a halt the rally seen in financial markets since the beginning of the year. Equity markets sold off, and corporate credit spreads widened. Emerging market sovereign bond spreads also rose, and portfolio flows to these economies retrenched.
5월 초 무역 긴장이 고조되면서 연초부터 이어온 금융시장의 랠리가 중단되었습니다. 주식 시장은 하락세이며, 기업 신용 스프레드가 확대되었습니다. 신흥 시장 국채 스프레드도 상승했으며, 이러한 경제에 대한 포트폴리오는 긴축상태로 바뀌었습니다.
Since mid-June, a number of central banks have signaled a dovish shift in their monetary policy stance, citing muted
inflation and increased downside risks to growth. The US Federal Reserve shifted down the expected path of its policy rate, while the European Central Bank extended its forward guidance to keep its interest rates at current levels until at least mid-2020. Other central banks have also turned dovish or communicated a more cautious view on the out-look (including in Australia, Brazil, Chile, China, India, Malaysia, and the Philippines).
6월 중순 이후 많은 중앙 은행들이 통화 정책 입장에서 완만한 인플레이션과 성장에 대한 하방 위험 증가를 언급하면서 엄청난 변화를 겪었다. 미연방 준비 제도는 금리의 예상 경로를 하향 조정한 반면, 유럽 중앙 은행은 2020 년 중반까지 이자율을 현재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 사전 지침을 확장했습니다. 다른 중앙 은행들도 전망에 대해 조심스런 시각을 보였으며 (호주, 브라질, 칠레, 중국, 인도, 말레이시아, 필리핀 등) 미래에 대해 더욱 신중한 견해를 표명했습니다.
This has led to further market reassessment of the expected path of monetary policy. Investors now anticipate more significant policy easing from central banks, including in the United States. This supportive environment has helped markets regain their poise. Global share prices have recovered much of the ground lost in May, and market interest rates have continued to decline across a wide swath of economies.
이로 인해 통화 정책의 예상 경로에 대한 시장 재평가로 이어졌습니다. 투자자들은 미국을 포함한 중앙 은행으로부터 의미 있는 완화 정책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지원 가능한 환경은 시장이 안정을 되찾는 데 도움이 되어 왔습니다. 세계 주가는 5월에 손실의 대부분을 회복했으며 시장 이자율은 광범위한 경제에서 계속하여 하락했습니다.
신용 스프레드 확대 → 재정 포트폴리오 긴축상태에 대한 대응
완만한 인플레이션 & 성장 하방 위험 → 금리 방향성 변화(상승→하락)
As of mid-July, 10-year government bond yields have dropped by about 45 basis points since March in the United
States, to 2.10 percent; by about 30 basis points in Germany, to –0.25 percent; and by about 10 basis points in Japan, to -0.12 percent.
7월 중순 현재 미국의 3월 이후 10년간의 정부 채권 수익률은 45 기준 포인트 하락한 2.10 %를 기록했다.
독일에서 약 30 기준포인트( - 0.25%); 일본의 약 10 포인트 ( - 0.12%).
The overall impact of these developments has been further easing of global financial conditions since the April 2019 World Economic Outlook (Figure 1).
Figure 1. Global Financial Conditions Indices (Number of standard deviations from mean)
[Sources: 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s; Bloomberg Finance L.P.; Haver Analytics; IMF, International Financial Statistics database; and IMF staff calculations. Note: Other emerging market economies comprise Brazil, India, Mexico, Poland, Russia, and Turkey. WEO = World Economic Outlook.]
이러한 방향의 전반적인 영향으로 2019 년 4월 세계 경제 전망 (그림 1) 이후 글로벌 금융 상태가 더욱 완화되었습니다.
그림 1. 글로벌 금융 상태 지수(평균과의 표준 편차 수)
[출처 : 국제 결제 은행; 블룸버그 파이낸스 L.P .; Haver Analytics; IMF, 국제 재무 통계 데이터베이스; 그리고 IMF 직원 계산. 참고 : 다른 신흥 시장 국가로는 브라질, 인도, 멕시코, 폴란드, 러시아 및 터키가 있습니다. WEO = 세계 경제 전망.]

This easing has been particularly pronounced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euro area, while financial conditions are little changed on net in China and in other major emerging market economies, in aggregate.
이러한 완화는 미국과 유로 지역에서 특히 두드러진 반면, 중국과 다른 주요 신흥 시장 경제국에서는 전반적으로 금융 상태가 거의 변하지 않았다.
결론:
무역 전쟁이 확대되며, 통화 정책의 유연성 요구
저조한 인플레이션 & 경기 하방 위험 확대
금리 상승 & 양적 긴축 → 금리 인하 & 양적 완화
'경제생각 > 경제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잭슨홀] #세계경제 진단 및 전망 #잭슨홀 회의란? (0) | 2019.08.19 |
---|---|
[#블룸버그] 이례적으로 한국경제 평가 #금리인하 #사회주의 (0) | 2019.08.09 |
[경제실험]#기본소득제 - #핀란드의 실험이 주는 교훈 (0) | 2019.02.16 |
[세계경제] 세계 각국의 헌법 1조 (1) | 2019.02.03 |
[미국셧다운] 민주당 승리? 셧다운 3주 중단 합의 (0) | 2019.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