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잭슨홀] #세계경제 진단 및 전망 #잭슨홀 회의란? :: Thinkstore
728x90
반응형

출처: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19-08-18/powell-likely-to-use-jackson-hole-to-suggest-fed-ready-to-cut

 

 

블룸버그에서 나온 기사입니다.

 

요약:

 

파월 연방 준비위원회 의장은 잭슨홀 심포지엄을 시작하면서 연설할 내용이 부족하진 않을 것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전쟁으로 인한 전 세계의 경제 충격.

초 저금리로 인한 16.7조 달러의 마이너스 수익 채권.

연준에 대한 대통령의 공격.

 

그리고 전 세계 경기 침체.

 

 


Value of negative yielding debt worldwide is twice what it was at end of 2018

전 세계 채권 수익률의 가치는 2018년 말의 두배

 

JPMorgan Chase & Co의 수석 경제학자인 브루스 카스만은 “연준이 9월에 금리를 0.5 포인트 인하할 가능성은 높다”고 말했다. 하지만 난 금리인하가 옳다고 생각하지 않고, 데이터는 금리인하를 정당화할 수 없다." 고 밝혔습니다.

그는 향후 12개월 동안 미국 경기 침체 발생 확률을 40%에서 45% 라고 제시합니다.

 


 

관세 영향

 

"관세의 직접적인 영향은 크지 않지만, 중요한 것은 정책이 기업 신뢰도와 금융 시장에 미치는 영향"

 

Obstfeld(전 IMF 수석 경제학자)는 오늘날의 상황을 1971년 당시 리처드 닉슨 대통령이 다른 나라들로 하여금 자국 통화를 재평가하도록 강요하기 위해 모든 이중 수입품에 10%의 관세를 부과했던 때와 비교했습니다. 동시에 닉슨은 1972년 재선 출마를 성공하기 위해 연준에게 완화 정책에 대한 압박을 가했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으로 브레튼 우즈 체제는 붕괴했고, 새로운 시스템이 적용됩니다. 

 

"전세계 거래 체제가 무너지고 있습니다." 고 말합니다.

 


 

최근 수십 년 동안, 경기 침체는 보통 미국에서 시작되어 전세계로 퍼져나갔습니다. 오늘날의 위험은 그 반대일 수도 있습니다.

 

JP 모건의 카스만은 "독특한 상황" 이라며, "이번 위험은 세계의 나머지 국가들이 약해지고,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하여 미국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이다." 고 말했습니다.

 

미국 경제는 상대적으로 독립적입니다. 작년 수출은 국내 총생산의 12%를 차지했습니다. 그러나 미국의 금융시장의 상황은 다릅니다. S&P 500 지수의 미국 기업은 판매량의 40% 이상을 해외에서 얻습니다. 

 

미국 국채 시장에서 고래들의 다수는 해외에 거주합니다. 그리고 여전히 긍정적인 수익률 활용을 위해 재무부에 돈을 쏟아 붓고 있습니다.

 


잭슨홀 회의란?
잭슨홀 경제 심포지엄
Jackson Hole Economic Symposium

 

출처: https://www.kansascityfed.org/publications/research/escp/jackson-hole

 

 

1978년 이후 캔자스 시티 연방 준비 은행이 후원하고, 1981년부터 와이오밍 주 잭슨홀에서 개최되는 연례 심포지엄.

매년 심포지엄은 세계 경제가 직면한 중요한 경제 문제에 중점

참가자는 전 세계의 저명한 중앙은행가 및 재무 장관 그리고 학계 전문가, 주요 금융 시장 참여자들

 

심포지엄에서 저명한 인사들로부터 나오는 예상치 못한 발언들이 세계 증시와 통화시장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시장 참여자들은 회의를 주의 깊게 관찰합니다.

 

 

잭슨홀 경제 심포지엄은 현재의 중대한 정책 문제에 대한 공개 토론을 장려하기 위한 컨퍼런스 입니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중앙은행 회의 중 하나입니다.

 

연례 심포지엄 주제는 캔자스 시티 연방 준비 은행에서 선택하며, 전문가들에게 관련 하위 주제에 대한 논문을 작성하도록 요구합니다. 150명 이상의 저자가 인플레이션, 노동 시장 및 국제 무역과 같은 주제에 대해 발표합니다. 모두 온라인으로 무료로 제공됩니다.

 

 

잭슨홀 회의 주제

 

2019년 주제:

Challenges For Monetary Policy

통화 정책에 대한 도전

 

 

2018년 주제:

 

화폐 정책에 대한 시장 구조 및 시사점 변화(Changing Market Structures and Implications for Monetary Policy)

페이스북, 아마존, 애플 및 구글과 같은 기술 대기업이 부상함에 따라

대기업의 축적된 시장권력이 더 넓은 경제에 해를 끼쳤는가?

독점 금지 당국은 보다 강력한 조치를 취해야하는가?

 

 

2017

"Fostering a Dynamic Global Economy"


2016

"Designing Resilient Monetary Policy Frameworks for the Future"


2015

"Inflation Dynamics and Monetary Policy"


2014

"Re-Evaluating Labor Market Dynamics"


2013

"Global Dimensions of Unconventional Monetary Policy"


2012

"The Changing Policy Landscape"


2011

"Achieving Maximum Long-Run Growth"


2010

"Macroeconomic Challenges: The Decade Ahead"


2009

"Financial Stability and Macroeconomic Policy"


2008

"Maintaining Stability in a Changing Financial System"


2007

"Housing, Housing Finance, and Monetary Policy"


2006

"The New Economic Geography: Effects and Policy Implications"


2005

"The Greenspan Era: Lessons for the Future"


2004

"Global Demographic Change: Economic Impacts and Policy Challenges"


2003

"Monetary Policy and Uncertainty: Adapting to a Changing Economy"


2002

"Rethinking Stabilization Policy"


2001

"Economic Policy for the Information Economy"


2000

"Global Economic Integration: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1999

"New Challenges for Monetary Policy"


1998

"Income Inequality Issues and Policy Options"


1997

"Maintaining Financial Stability in a Global Economy"


1996

"Achieving Price Stability"


1995

"Budget Deficits and Debt: Issues and Options"

 

주제: https://www.kansascityfed.org/publications/research/escp/symposiums/escp-archive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