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용어] #EPS and #BPS #간단설명 #투자 필수 용어 :: Thinkstore
728x90
반응형

차근 차근 부자되기

 

주식을 하며 가장 기본이 되는 단어

EPS , BPS

간략하게 알아보자 !

 

EPS

(Earning Per Share)

"주당 순이익"

 

일반적으로,

EPS가 높다는 의미는,

기업이 많은 돈을 벌었다는 의미입니다.

 

EPS가 꾸준히 증가한 기업은

꾸준히 성장해나가고 있는 기업으로 볼 수 있으며,

EPS 가 높을 수록 이익이 높은 기업입니다.

 

기업의

EPS 가 낮은 이유로는,

 

1. 비효율적인 경영

2. 높은 부채비율로 이자비용 증가

3. 과도한 투자

과도한 투자를 진행한 기업은 유심히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BPS

(Bookvalue Per Share)

"주당 순자산" and "청산가치"

 

 

기업의 현재 자산을 주주들에게 나누어준다고 가정했을 때,

한 주당 얼마씩 돌아가는지 나타내는 지표

 

BPS를 통해 기업 주가를 판단

(고평가 or 저평가)

 

BPS = 10,000

현재 주가 = 100,000

 

BPS < 주가라면, 고평가 상태

 

BPS 가 높을수록 기업 자산이 많습니다.

 


 

 

EPS = 5,421원

 

삼성전자 1주를 샀다면,

그 1주가 벌어들인 순이익이 5421원 이라는 의미입니다.

 

BPS = 30,427원

 

현재 삼성전자의 자산을 주식수로 나눈 값으로,

현재 삼성전자의 가치를 현금화(가능하다는 전제)하여 주주들에게 돌려준다면,

1주당 30,427원을 받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청산가치라는 말도 사용합니다.

 


 

 

부자

되는

그날

까지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