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용어] #PER and PBR #간단설명 #투자 필수 용어 :: Thinkstore
728x90
반응형

차근

차근

부자

되기

 

주식 및 제무제표를 보면 가장 기본이 되는 단어

PBR , PER

간략..하진 않지만 알아보자 !

 

PER

(Price to Earning Ratio)

"주가수익비율"

 

 

 

1.

PER = 주가 / 주당순이익

(주당순이익:EPS = 순이익 / 주식수)

2.

PER = 시가총액 / 순이익

3.

PER = 투자원금의 회수 기간

 


 

예제

 

Example 1:

 

1년 순이익 1,000만원

총 주식수 = 10,000

주가 = 10,000

 

 

PER = 주가 / EPS = 10

PER = 시가총액 순이익 = 10

 

EPS = 1,000 (1주당 1,000원의 수익)

(∵1천만 / 1 = 1,000)

 

Example 2:

 

B사의 당기순이익 1,000만원

B사의 시가총액 = 1억원

 

1,000만원의 수익을 벌어들이는 기업을

1억원에 인수한다면PER = 10

 

(원금회수까지 걸리는 기간을 일컫기도 함)

 


 

PER 특징

 

PER  일반적으로 낮을 수록 좋습니다.

PER 낮음, 같은 시가총액 대비 높은 순이익을 나타냅니다.

(PER 이 높아도, 성장 가능성이 높으면 주가는 오릅니다.)

그래서 산업분야 혹은 동종 업계마다 PER 천차만별입니다.

 

PER 낮은 경우는 세가지 입니다.

 

1.

 특정 분야의 평균 PER 보다 낮은 기업 = 저평가된 것입니다.

 

2.

높은 순이익과 낮은 PER 을 가진 기업은,

그 종목의 발전가능성이 낮아서,

주주들이 주식을 팔아 시가총액은 낮아지고, 순이익은 높은,

PER 이 낮아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좋은 예 : 2018년 삼성전자.

역대 최고의 순이익을 기록했지만,

시가총액, 즉 주가는 떨어져서

PER이 낮아짐)

 

3.

마지막은 시장이 관심을 가져주지 않는,

시장소외주 입니다.

거래량도 없을 뿐더러, 규모가 작거나 잘 알려지지 않은 기업은

PER 이 낮아도 저평가 혹은 고평가라고 판단하기 어려운 기업입니다.

 


 

 

PBR

(Price to Book-value Ratio)

"주가순자산비율"

 

 

 

 

1.

PBR = 주가 / 주당순자산

(주당순자산:BPS = 순자산 / 주식수)

 

2.

PBR = 시가총액 / 순자산

 

1주가 가지는 가치를 나타내는 수치.

주가가 순자산에 비해 1주당 몇 배로 거래되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지표.

또한, 주가가 자산가치를 인정받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

 


 

예제

 

Example:

 

순자산 = 100,000,000원 (1억원)

주식수 = 100,000개 (10만개)

현재 주가 = 10,000

 

PBR = 주가 / BPS = 10

(BPS = 1,000원)

 

기업의 주가는 기업의 자산에 비해 10배 비싸다는 의미.

(동종 업계의 평균 PBR 통계치를 찾아보는 것도 중요)

 

PBR 1이라면 즉 기업의 순자산과 기업의 시가총액이 같다는 

 

 


 

PBR 특징

 

PBR  일반적으로 낮을 수록 좋습니다.

PBR 낮음, 같은 시가총액 대비 높은 순자산을 나타냅니다.

 

PBR 이 낮은 경우는 세 가지가 있습니다.

 

1.

특정 분야의 평균 PBR 보다 낮은 기업 = 저평가된 기업입니다.

 

2.

순자산이 높으나 낮은 PBR 은 가진 기업은,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습니다만,

경영 효율성이나 영업이익 등의 저조한 성적,

업계의 낮은 발전가능성 등으로

주주들이 주식을 매도하여 낮아진 시가총액과 쌓아둔 높은 순자산으로,

일시적으로 PER 이 낮아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3.

PER 과 마찬가지로

시장소외주 입니다.

거래량도 없을 뿐더러, 규모가 작거나 잘 알려지지 않은 기업은

PBR 이 낮아도 저평가 혹은 고평가라고 판단하기 어려운 기업입니다.

 

 


 

삼성전자를 예로 들어 봅시다.

 

 

 

EPS = 5,421원

 

삼성전자 1주를 샀다면,

그 1주가 벌어들인 순이익이 5421원 이라는 의미입니다.

 

BPS = 30,427

 

현재 삼성전자의 자산을 주식수로 나눈 값으로,

현재 삼성전자의 가치를 현금화(가능하다는 전제)하여 주주들에게 돌려준다면,

1주당 30,427원을 받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청산가치라는 말도 사용합니다.

 

PER = 7.39배

 

10년 차트를 보면,

2017년 11월 03일 부터 지금까지,

 

역대 최고의 순이익을 기록했지만,

시가총액이 떨어져

 

PER 이 낮아진 모습입니다.

 

중국 반도체 투자로, 위기감 때문에 PER 이 낮아진 상태입니다.

 

PBR = 1.32배

 

주가가 자산에 비해 1.3배 비싸다는 결과를 보여주는군요.

 

자산이 100 이고,

시가총액이 132 라는 의미입니다.

 

PBR = 1 은 자산 = 시가총액 을 의미,

 

PBR < 1 은, 

일반적으로 주식이 저평가 되었다는 의미입니다.

 

삼성전자는 아직 많은 외인과 기관 및 개인투자자들이 

자산보다 높은 시가총액으로 보아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상으로 글을 마치겠습니다.

오타 오역 잘못된 해석 등은 피드백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부자

되는

그날

까지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